맨위로가기

이반 페드로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페드로소는 쿠바 출신의 멀리뛰기 선수로, 1990년 17세의 나이에 8미터 이상을 뛰며 두각을 나타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실내 및 실외 세계 선수권 대회를 석권하며 압도적인 기량을 과시했으며,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5년 세스트리에레에서 8.96m를 뛰었으나 풍속 측정 문제로 세계 기록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2007년 은퇴했으며, 현재는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남자 멀리뛰기 선수 - 후안 미겔 에체바리아
    후안 미겔 에체바리아는 쿠바 출신의 멀리뛰기 선수이며,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팬아메리카 게임 육상 금메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동메달, 하계 올림픽 은메달 등을 획득했다.
  • 쿠바의 남자 멀리뛰기 선수 - 마이켈 마소
    쿠바의 육상 선수 마이켈 마소는 멀리뛰기에서 2015년 세계 유소년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시작으로 2020년 도쿄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 1991년 팬아메리칸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도너번 베일리
    도너번 베일리는 자메이카 출신의 캐나다 육상 선수로, 1996년 올림픽 100m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하고,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6년 올림픽 400m 계주에서도 우승했으며, 은퇴 후 스포츠 관련 사업과 해설가로 활동했다.
  • 1991년 팬아메리칸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퀸시 와츠
    퀸시 와츠는 미국의 육상 선수이자 코치이며,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400m 금메달리스트이자 4x400m 릴레이 세계 신기록 보유자이며, 현재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코치 보조로 활동하고 있다.
  • 1995년 팬아메리칸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로저 킹덤
    로저 킹덤은 110m 허들에서 올림픽 2연패와 세계 기록 수립을 달성한 미국의 육상 선수 출신 코치로, 은퇴 후 대학과 NFL 코치를 거쳐 슈퍼볼 우승에도 기여했다.
  • 1995년 팬아메리칸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랜스 딜
    랜스 딜은 미국의 해머던지기 선수로, 올림픽 은메달, 팬아메리카 게임 금메달, IAAF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을 차지했으며, 오리건, 와이오밍 스포츠 및 전미 육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반 페드로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반 페드로소
이름이반 라자로 페드로소 솔레르
로마자 표기Iban Lájaro Pederoso Solleo
출생일1972년 12월 17일
출생지쿠바 아바나
국적쿠바
신장176cm
체중66kg
코치밀란 마토스
은퇴2007년 9월 26일
선수 경력
종목육상 경기
세부 종목멀리뛰기
개인 최고 기록
멀리뛰기8.71m (1995년) NR
주요 대회 성적
올림픽2000 시드니: 금메달 (멀리뛰기)
세계 선수권 대회1995 예테보리: 금메달 (멀리뛰기)
1997 아테네: 금메달 (멀리뛰기)
1999 세비야: 금메달 (멀리뛰기)
2001 에드먼턴: 금메달 (멀리뛰기)
세계 선수권 대회 (실내)1993 토론토: 금메달 (멀리뛰기)
1995 바르셀로나: 금메달 (멀리뛰기)
1997 파리: 금메달 (멀리뛰기)
1999 마에바시: 금메달 (멀리뛰기)
2001 리스본: 금메달 (멀리뛰기)
팬아메리칸 게임1991 아바나: 동메달 (멀리뛰기)
1995 마르델플라타: 금메달 (멀리뛰기)
1999 위니펙: 금메달 (멀리뛰기)
2003 산토도밍고: 금메달 (멀리뛰기)
유니버시아드1997 시칠리아: 금메달 (멀리뛰기)
굿윌 게임1998 뉴욕: 금메달 (멀리뛰기)
2001 브리즈번: 금메달 (멀리뛰기)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경기 대회1998 마라카이보: 금메달 (멀리뛰기)
2006 카르타헤나: 금메달 (멀리뛰기)
중앙아메리카 선수권 대회1997 산후안: 금메달 (멀리뛰기)
이베로아메리카 선수권 대회1992 세비야: 금메달 (멀리뛰기)
2004 우엘바: 금메달 (멀리뛰기)
중앙아메리카 주니어 선수권 대회1990 아바나: 은메달 (멀리뛰기)
기타 정보
코치 활동넬슨 에보라, 율리마르 로하스, 아나 펠레테이로 등 지도

2. 선수 경력

이반 페드로소는 쿠바 아바나에서 태어났다.[5] 1990년 7월, 겨우 17세의 나이에 페드로소는 처음으로 8미터 이상을 뛰었다.[5] 칼 루이스, 마이크 파월 등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그는 90년대 초반 여러 국제 대회에서 수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5] 그는 거의 항상 1위 아니면 1, 2위를 다퉜다.[5] 파월과 루이스가 은퇴한 후 페드로소는 지배적인 선수로 자리 잡아 여러 실내 및 실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5] 실제로 그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하여 모든 주요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5]

1995년 세스트리에레의 고지대에서 이반 페드로소는 측정된 풍속 +1.2로 8.96미터를 뛰었다.[5] 이것은 세계 기록으로 마이크 파월을 1센티미터 차이로 앞서는 것이었다.[5] 그러나 이탈리아 육상 연맹은 풍속계 앞에 사람이 서서 정확한 풍속 측정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어, 풍속 기록이 무효로 선언됨에 따라 결과를 IAAF에 비준을 위해 전달하지 않았다.[5]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상으로 인해 그는 옛 라이벌 칼 루이스처럼 올림픽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는 바르셀로나 1992에서 19세의 나이로 4위를 기록했지만, 애틀랜타 1996에서는 부상으로 고생하며 멀리뛰기 결선에서 12위에 그쳤다. 2000년 올림픽(시드니)에서 페드로소는 마지막 점프로 금메달을 화려하게 획득했다. 2004년 올림픽에서는 치열한 경쟁 끝에 7위를 기록했다. 페드로소는 그 이후로 주요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8미터 이상을 여러 번 뛰었다.

2007년 9월 26일, 페드로소는 은퇴를 발표했다.

그의 공식 최고 기록은 1995년 살라망카에서 기록한 8.71미터였다.[6]

그는 2013년 세단뛰기 세계 챔피언 테디 탐고, 2020년 올림픽 챔피언 율리마르 로하스 및 2024년 올림픽 챔피언 조던 디아스의 코치이다. 페드로소는 허들 선수 알리우 스카 로페스의 사촌이다.

17세였던 1990년에 이미 8m 점퍼 대열에 합류했다. 이후, 칼 루이스마이크 파월과 같은 강호들이 즐비한 국제 무대에서 수많은 금메달을 획득해 나갔다. 파월과 루이스가 은퇴한 후, 그는 압도적인 실력으로 다른 선수들의 추종을 불허하게 되었다. 실제로,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주요 대회에서 모두 우승했다.

1995년 이탈리아 세스트리에레에서 열린 경기에서 페드로소는 풍속 +2.4m의 환경에서 8m 89cm를 기록했다. 또한, 같은 대회에서 풍속 +1.2m의 환경에서 8m 96cm의 도약을 했다. 이는 1991년 마이크 파월이 세운 8m 95cm의 세계 기록을 깨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육상 연맹은 풍속계 앞에 관계자가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풍속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여 이 기록을 IAAF에 보고하지 않았다. 때문에, 이 기록은 환상의 세계 기록이 되었다.

압도적인 실력을 자랑했던 페드로소이지만, 올림픽 육상에서는 동 종목에서 4연패를 달성한 칼 루이스에 비하면 다소 인상이 옅은 것은 부인할 수 없다. 19세에 출전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4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부상으로 12위,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드디어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7위라는 결과를 얻었다.

2. 1. 초기 경력

이반 페드로소는 쿠바 아바나에서 태어났다.[5] 1990년 7월, 17세의 나이에 처음으로 8미터 이상을 뛰었다.[5] 칼 루이스, 마이크 파월 등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90년대 초반 여러 국제 대회에서 수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5] 그는 거의 항상 1위 아니면 1, 2위를 다퉜다.[5] 파월과 루이스가 은퇴한 후 페드로소는 지배적인 선수로 자리 잡아 여러 실내 및 실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5]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하여 모든 주요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5]

1995년 세스트리에레의 고지대에서 이반 페드로소는 측정된 풍속 +1.2로 8.96미터를 뛰었다.[5] 이것은 세계 기록으로 마이크 파월을 1센티미터 차이로 앞서는 것이었다.[5] 그러나 이탈리아 육상 연맹은 풍속계 앞에 사람이 서서 정확한 풍속 측정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어, 풍속 기록이 무효로 선언됨에 따라 결과를 IAAF에 비준을 위해 전달하지 않았다.[5]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상으로 인해 그는 옛 라이벌 칼 루이스처럼 올림픽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5]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19세의 나이로 4위를 기록했고,[5]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부상으로 12위에 그쳤지만,[5] 2000년 올림픽(시드니)에서 마지막 점프로 금메달을 획득했다.[5] 2004년 올림픽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5]

2. 2. 전성기 (1990년대 ~ 2000년대 초)

쿠바 아바나에서 태어난 이반 페드로소는 1990년 7월, 17세의 나이에 처음으로 8미터 이상을 뛰었다. 칼 루이스, 마이크 파월 등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그는 90년대 초반 여러 국제 대회에서 수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거의 항상 1위 아니면 1, 2위를 다퉜다. 파월과 루이스가 은퇴한 후 페드로소는 지배적인 선수로 자리 잡아 여러 실내 및 실외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실제로 그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하여 모든 주요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5]

1995년 세스트리에레의 고지대에서 이반 페드로소는 측정된 풍속 +1.2로 8.96미터를 뛰었다. 이것은 세계 기록으로 마이크 파월을 1센티미터 차이로 앞서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육상 연맹은 풍속 측정 장치인 풍속계 앞에 사람이 서서 정확한 풍속 측정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어, 풍속 기록이 무효로 선언됨에 따라 결과를 IAAF에 비준을 위해 전달하지 않았다.[5]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상으로 인해 그는 옛 라이벌 칼 루이스처럼 올림픽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는 바르셀로나 1992에서 19세의 나이로 4위를 기록했지만, 애틀랜타 1996에서는 부상으로 고생하며 멀리뛰기 결선에서 12위에 그쳤다. 2000년 올림픽(시드니)에서 페드로소는 마지막 점프로 금메달을 화려하게 획득했다. 2004년 올림픽에서는 치열한 경쟁 끝에 7위를 기록했다. 페드로소는 그 이후로 주요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8미터 이상을 여러 번 뛰었다.

그의 공식 최고 기록은 1995년 살라망카에서 기록한 8.71미터였다.[6]

17세였던 1990년에 이미 8m 점퍼 대열에 합류했다. 이후, 칼 루이스마이크 파월과 같은 강호들이 즐비한 국제 무대에서 수많은 금메달을 획득해 나갔다. 파월과 루이스가 은퇴한 후, 그는 압도적인 실력으로 다른 선수들의 추종을 불허하게 되었다. 실제로,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주요 대회에서 모두 우승했다.

1995년 이탈리아 세스트리에레에서 열린 경기에서 페드로소는 풍속 +2.4m의 환경에서 8m 89cm를 기록했다. 또한, 같은 대회에서 풍속 +1.2m의 환경에서 8m 96cm의 도약을 했다. 이는 1991년 마이크 파월이 세운 8m 95cm의 세계 기록을 깨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육상 연맹은 풍속계 앞에 관계자가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풍속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여 이 기록을 IAAF에 보고하지 않았다. 때문에, 이 기록은 환상의 세계 기록이 되었다.

압도적인 실력을 자랑했던 페드로소이지만, 올림픽 육상에서는 동 종목에서 4연패를 달성한 칼 루이스에 비하면 다소 인상이 옅은 것은 부인할 수 없다. 19세에 출전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4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부상으로 12위,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드디어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7위라는 결과를 얻었다.

2. 2. 1. 1995년 '환상의 세계 기록'

(내용 없음)

2. 3. 올림픽에서의 도전

이반 페드로소는 쿠바 아바나에서 태어났다.[5] 1990년 7월, 17세의 나이에 8미터 이상을 뛰었으며, 칼 루이스, 마이크 파월 등과의 경쟁 속에서도 90년대 초반 여러 국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5] 파월과 루이스가 은퇴한 후 페드로소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하여 모든 주요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지배적인 선수로 자리 잡았다.[5]

1995년 세스트리에레에서 페드로소는 8.96미터를 뛰었으나, 풍속계 문제로 인해 세계 기록으로 인정받지 못했다.[5]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올림픽에서는 부상 등으로 인해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4위를 기록했고,[5]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부상으로 12위에 그쳤다.[5]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마지막 점프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5]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5]

2. 4. 은퇴

3. 은퇴 이후

4. 개인사

알리우스카 로페스의 사촌이다.

5. 주요 성적

wikitext

이반 페드로소는 쿠바를 대표하여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7] 1990년 아바나에서 열린 중앙아메리카·카리브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U-20)에서 7.74m로 2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플로브디프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7.81m로 4위를 차지했다. 1991년 킹스턴에서 열린 범 아메리카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8.08m로 1위를, 아바나에서 열린 팬 아메리카 게임에서는 7.96m로 3위를 기록했다.

1992년 세비야에서 열린 이베로-아메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8.53m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8.11m로 4위에 올랐다. 같은 해 아바나에서 개최된 IAAF 월드컵에서는 7.97m로 1위를 기록했다.[7] 1993년 토론토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8.23m로 우승하였으나,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1995년에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51m), 예테보리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8.70m), 마르델플라타에서 열린 팬 아메리카 게임(8.50m),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IAAF 그랑프리 파이널(8.49m)에서 모두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7.75m로 12위에 머물렀다.

1997년에도 파리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51m), 아테네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8.42m), 카타니아에서 열린 유니버시아드(8.40m), 후쿠오카에서 열린 IAAF 그랑프리 파이널(8.53m)에서 모두 우승하며 뛰어난 기량을 이어갔다. 1998년에는 유니언데일에서 열린 굿윌 게임(8.54m), 마라카이보에서 열린 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8.45m),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월드컵(8.37m)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7]

1999년에는 마에바시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62m), 세비야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8.56m), 위니펙에서 열린 팬 아메리카 게임(8.52m), 뮌헨에서 열린 IAAF 그랑프리 파이널(8.43m)에서 다시 한번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8.55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에도 리스본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43m)와 에드먼턴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8.40m)에서 우승하며 꾸준한 성적을 거두었다. 2002년 마드리드에서 열린 월드컵에서는 8.19m로 2위를 기록했다.[7] 2003년 산토도밍고에서 열린 팬 아메리카 게임(8.23m)에서 우승하였으나, 파리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2004년에는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09m)에서 8위, 우엘바에서 열린 이베로-아메리카 선수권 대회(7.78m)에서 3위를 기록했고,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8.23m로 7위에 올랐다. 2006년 카르타헤나에서 열린 중앙아메리카·카리브 경기에서는 7.92m로 2위를 차지했으며,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팬 아메리카 게임에서는 7.86m로 4위를 기록했다.

연도대회개최지종목순위기록
1990중앙아메리카·카리브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U-20)아바나, 쿠바멀리뛰기2위7.74 m
1991팬 아메리카 게임아바나, 쿠바멀리뛰기3위7.96 m
1992올림픽바르셀로나, 스페인멀리뛰기4위8.11 m
1992IAAF 월드컵아바나, 쿠바멀리뛰기1위7.97 m
1993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토론토, 캐나다멀리뛰기1위8.23 m
1995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바르셀로나, 스페인멀리뛰기1위8.51 m
1995팬 아메리카 게임마르델플라타, 아르헨티나멀리뛰기1위8.50 m
1995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예테보리, 스웨덴멀리뛰기1위8.70 m
1995IAAF 그랑프리 파이널몬테카를로, 모나코멀리뛰기1위8.49 m
1996올림픽애틀랜타, 미국멀리뛰기12위7.75 m
1997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파리, 프랑스멀리뛰기1위8.51 m
1997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 그리스멀리뛰기1위8.42 m
1997하계 유니버시아드카타니아, 이탈리아멀리뛰기1위8.40 m
1997IAAF 그랑프리 파이널후쿠오카, 일본멀리뛰기1위8.53 m
1998IAAF 월드컵요하네스버그, 남아프리카 공화국멀리뛰기1위8.37 m
1999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마에바시, 일본멀리뛰기1위8.62 m
1999팬 아메리카 게임위니펙, 캐나다멀리뛰기1위8.52 m
1999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세비야, 스페인멀리뛰기1위8.56 m
1999IAAF 그랑프리 파이널뮌헨, 독일멀리뛰기1위8.43 m
2000올림픽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멀리뛰기1위8.55 m
2001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리스본, 포르투갈멀리뛰기1위8.43 m
2001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드먼턴, 캐나다멀리뛰기1위8.40 m
2002IAAF 월드컵마드리드, 스페인멀리뛰기2위8.19 m
2003팬 아메리카 게임산토도밍고, 도미니카 공화국멀리뛰기1위8.23 m
2004올림픽아테네, 그리스멀리뛰기7위8.23 m


5. 1. 국제 대회

이반 페드로소는 쿠바를 대표하여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7] 1990년 아바나에서 열린 중앙아메리카·카리브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U-20)에서 7.74m로 2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플로브디프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7.81m로 4위를 차지했다. 1991년 킹스턴에서 열린 범 아메리카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8.08m로 1위를, 아바나에서 열린 팬 아메리카 게임에서는 7.96m로 3위를 기록했다.

1992년 세비야에서 열린 이베로-아메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8.53m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8.11m로 4위에 올랐다. 같은 해 아바나에서 개최된 IAAF 월드컵에서는 7.97m로 1위를 기록했다.[7] 1993년 토론토에서 열린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8.23m로 우승하였으나,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1995년에는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51m),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8.70m), 팬 아메리카 게임(8.50m), IAAF 그랑프리 파이널(8.49m)에서 모두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7.75m로 12위에 머물렀다.

1997년에도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51m),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8.42m), 하계 유니버시아드(8.40m), IAAF 그랑프리 파이널(8.53m)에서 모두 우승하며 뛰어난 기량을 이어갔다. 1998년에는 굿윌 게임(8.54m), 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8.45m), IAAF 월드컵(8.37m)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7]

1999년에는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62m),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8.56m), 팬 아메리카 게임(8.52m), IAAF 그랑프리 파이널(8.43m)에서 다시 한번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8.55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에도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8.43m)와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8.40m)에서 우승하며 꾸준한 성적을 거두었다. 2002년 IAAF 월드컵에서는 8.19m로 2위를 기록했다.[7] 2003년 팬 아메리카 게임에서 8.23m로 우승하였으나, 파리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2004년에는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에서 8.09m로 8위, 이베로-아메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7.78m로 3위를 기록했고,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8.23m로 7위에 올랐다. 2006년 중앙아메리카·카리브 경기에서는 7.92m로 2위를 차지했으며, 2007년 팬 아메리카 게임에서는 7.86m로 4위를 기록했다.

연도대회개최지종목순위기록
1990중앙아메리카·카리브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 (U-20)아바나, 쿠바멀리뛰기2위7.74 m
1991팬 아메리카 게임아바나, 쿠바멀리뛰기3위7.96 m
1992올림픽바르셀로나, 스페인멀리뛰기4위8.11 m
1992IAAF 월드컵아바나, 쿠바멀리뛰기1위7.97 m
1993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토론토, 캐나다멀리뛰기1위8.23 m
1995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바르셀로나, 스페인멀리뛰기1위8.51 m
1995팬 아메리카 게임마르델플라타, 아르헨티나멀리뛰기1위8.50 m
1995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예테보리, 스웨덴멀리뛰기1위8.70 m
1995IAAF 그랑프리 파이널몬테카를로, 모나코멀리뛰기1위8.49 m
1996올림픽애틀랜타, 미국멀리뛰기12위7.75 m
1997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파리, 프랑스멀리뛰기1위8.51 m
1997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 그리스멀리뛰기1위8.42 m
1997하계 유니버시아드카타니아, 이탈리아멀리뛰기1위8.40 m
1997IAAF 그랑프리 파이널후쿠오카, 일본멀리뛰기1위8.53 m
1998IAAF 월드컵요하네스버그, 남아프리카 공화국멀리뛰기1위8.37 m
1999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마에바시, 일본멀리뛰기1위8.62 m
1999팬 아메리카 게임위니펙, 캐나다멀리뛰기1위8.52 m
1999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세비야, 스페인멀리뛰기1위8.56 m
1999IAAF 그랑프리 파이널뮌헨, 독일멀리뛰기1위8.43 m
2000올림픽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멀리뛰기1위8.55 m
2001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리스본, 포르투갈멀리뛰기1위8.43 m
2001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드먼턴, 캐나다멀리뛰기1위8.40 m
2002IAAF 월드컵마드리드, 스페인멀리뛰기2위8.19 m
2003팬 아메리카 게임산토도밍고, 도미니카 공화국멀리뛰기1위8.23 m
2004올림픽아테네, 그리스멀리뛰기7위8.23 m


5. 2. 기타

참조

[1] 간행물 Latinoamerica También Tiene Medallas A La Sombra http://www.atletismo[...] Atletismo Peruano 2010-02-23
[2] 웹사이트 Atletismo: Nélson Évora treinado por Ivan Pedroso http://www.maisfuteb[...]
[3] 웹사이트 Olympic silver medalist Yulimar Rojas signs with FC Barcelona athletics team https://www.fcbarcel[...]
[4] 웹사이트 Ivan Pedroso: "Ana Peleteiro dará el salto que todo el mundo espera" https://www.marca.co[...] 2018-01-29
[5] 뉴스 TRACK AND FIELD; Pedroso's World Mark In Long Jump in Doubt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95-08-04
[6] 웹사이트 IAAF Athlete Biography http://www.iaaf.org/[...] 2008-08-20
[7] 문서 Representing the Americ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